운전면허 갱신, 미루다 놓치면 벌금까지?! 꼭 챙겨야 할 적성검사 준비물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 얼마 전에 운전면허 적성검사 받고 왔는데요, 준비물 하나 빼먹고 다시 돌아간 거 있죠ㅠ 진짜 귀찮고 창피했어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적성검사나 갱신 갈 때 꼭 챙겨야 할 준비물과 팁을 알려드릴게요. 여러분은 저처럼 두 번 가지 마세요!
적성검사와 갱신 차이점
운전면허 적성검사와 갱신은 다 같은 거 아니냐고요?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적성검사는 1종 보통·대형 면허를 가진 사람에게 해당되고, 갱신은 2종 보통처럼 일반 면허 소지자에게 해당돼요. 적성검사는 시력, 청력 등 간단한 건강검사를 포함하는 반면, 갱신은 단순히 면허 재발급 절차에 가까워요.
준비물 체크리스트
아래 체크리스트만 챙기면 준비 끝! 적성검사이든 단순 갱신이든 공통으로 필요한 항목과 추가 준비물을 정리했어요.
항목 | 설명 |
---|---|
신분증 |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 가능 문서 |
증명사진 1매 | 최근 6개월 이내, 규격 준수 필수 |
수수료 | 적성검사 13,000원 / 갱신 8,000원 내외 (지점별 상이) |
건강검진 결과서 (적성검사 시)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내역 활용 가능 |
증명사진 규격 및 팁
"사진도 규격이 있다고요?" 네! 규정 어기면 접수 거부되기 일쑤예요. 아래 조건 꼭 확인하고 미리 준비하세요!
- 3.5cm x 4.5cm 규격의 컬러 증명사진
- 모자, 선글라스, 머리카락으로 얼굴 가린 사진 불가
- 최근 6개월 이내 촬영된 것만 유효
건강검진서류 유효 조건
적성검사를 받으려면 건강검진 결과가 필요해요. 다행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일반 건강검진 결과가 유효하니 따로 병원 안 가셔도 돼요! 단, 몇 가지 조건이 있어요.
- 2년 이내 일반 건강검진 결과만 인정
- '시력, 청력, 혈압' 항목 포함되어야 함
- 공단 건강검진 받은 경우 자동 연동되므로 별도 제출 불필요
방문 장소와 준비 시간
운전면허시험장 또는 경찰서 민원실에서도 가능하지만, 적성검사는 반드시 면허시험장으로 가야 해요. 대기시간이 있을 수 있으니 오전 일찍 방문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구분 | 내용 |
---|---|
적성검사 | 운전면허시험장에서만 가능 |
갱신 | 경찰서 민원실 또는 시험장 둘 다 가능 |
소요 시간 | 대기 포함 평균 40분~1시간 예상 |
현장 꿀팁 및 주의사항
직접 다녀와본 사람만 아는 현장 꿀팁 모음이에요. 꼭 기억해두세요!
- 대기표 뽑기 전에 준비물 체크 다시 한번!
- 현금 준비하면 속도 빠름 (카드도 가능)
- 휴대폰 줄 전원 꺼두기 (시력 검사 시 방해됨)
- 면허 발급 즉시 수령 가능하지만 여권사진 기준 아니면 거절될 수 있음
1종 보통, 대형, 특수면허 소지자 중 유효기간 도래한 운전자들이 대상이에요.
보통 유효기간 시작일 기준 6개월 전부터 가능하며, 기한을 넘기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공단 검진을 받았다면 시스템 자동 연동돼요. 병원 검진은 출력해 직접 제출하면 됩니다.
2종 보통 갱신은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처리 가능해요. 단, 적성검사는 직접 방문 필수예요.
네, 대부분 카드 결제 가능하지만 일부 시험장에서는 현금만 받는 곳도 있으니 확인 필수!
기한 내 갱신이나 적성검사 안 하면 면허 취소 및 벌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절대 미루지 마세요!